Electric dipole and dipole moment
유전체(dielectric)에서는 전하들이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상적으로는 이동하여 전류를 형성할 수 있는 자유한 전하가 없다. 원자와 분자는 극성(polar)일 수 있으며, 또는 전기장의 적용으로 극성화될 수도 있다. 극성화된 원자나 분자를 생각해보면 이들은 이중자 모멘트(p)를 가지는데, 이중자 모멘트는 존재하는 전하의 크기(Q)에 양과 음의 전하 사이의 거리(d)를 곱한 값으로 정의된다. (p=Q*d) 이중자 모멘트는 음성 전하에서 양성 전하를 가리키는 벡터이다.
무극성 VS 극성
진공에서는 D=ε*E으로 계산되지만 부도체에서는 D=ε*E + α 이다. 이때 이 α값에 의해서 전기장이 약해진다.
Dielectric 즉, 부도체는 아래와 같이 free space에 dipole이 무작위로 퍼져있는 방식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
이때 일부분을 잡고 C/m^2 범위당 쿨롱값을 계산해보면 아래와 같다.
이때 외부 자기장을 걸어주어서 유전체 내부에 발생하는 전기장인 Polarization Field를 보자.
이때 boundary charge를 계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친다.
Polarization Flux Through a Closed Surface
Bound and Free charge
Gauss Law for Free Charge
Charge Densities
Electric Susceptibility and Dielectric Constant
전기 감응도(electric susceptibility, Xe)는 매질이 전기장에 얼마나 감응하는지를 정량화하며, 이는 유전체의 극화 정도를 나타낸다.
위의 식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쓸 수 있다.
상대유전율은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따라서 특정 물질의 유전율은 아래와 같이 표현된다.
그리고 이 유전율을 이용하여 특정 물질에서의 flux density를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다.
구 유전체의 예시에서 유전율에 따른 D와 E를 구해보자.
유전체 2개가 맞닿아 있는 상황
E가 consevative하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아래의 식을 이용한다.
이를 통해 스넬의 법칙과 유사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Normal Electric Flux Density
좀금 더 일반화하면 아래와 같다.
추가적으로 만약 charge density가 0이라면 아래 식이 성립한다.
이를 종합하여 그림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Quality control (Univ. Study) > Electromagne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cture 15 - Capacitance (0) | 2023.05.27 |
---|---|
Lecture 13 - Conductors (1) | 2023.05.25 |
Lecture 12 - Energy and Potential(2) (0) | 2023.05.24 |
Lecture 11 - Energy and Potential(1) (0) | 2023.05.16 |
Lecture9, 10 - Gauss's Law, Divergence (0) | 2023.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