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GD
확률적 경사 하강법(stochastic gradient descent)의 줄임말인 SGD는 현재 상태에서 학습률과 미분값에 비례한 값을 빼서 갱신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위 식을 기반으로 파이썬 클래스로 구현하면 아래와 같다.
class SGD:
def __init__(self, lr=0.01):
self.lr = lr
def update(self, params, grads):
for key in params.keys():
params[key] -= self.lr * grads[key]
lr : 학습률, learning rate. 인스턴스 변수로 유지
update(params, grads) : SGD 과정에서 반복해서 호출됨
params : 딕셔너리 변수. 가중치 매개변수 저장됨. 예시 params['W1']
grads : 딕셔너리 변수. 기울기가 저장됨. 예시 grads['W1']
위의 SGD클래스를 이용하여 간단한 신경망 매개변수의 진행을 의사코드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network = TwoLayerNet(...)
optimizer = SGD() ###
for i in range(10000):
...
x_batch, t_batch = get_mini_batch(...) # 미니배치
grads = network.gradient(x_batch, t_batch)
params = network.params
optimizer.update(params, grads) ###
...
SGD의 단점을 아래의 경우에서 살펴보자.
위 함수의 그래프와 등고선을 그려보면 아래와 같다.
%matplotlib inline
import numpy as np
import matplotlib.pylab as plt
from mpl_toolkits.mplot3d import Axes3D
X = np.arange(-10, 10, 0.5)
Y = np.arange(-10, 10, 0.5)
XX, YY = np.meshgrid(X, Y)
ZZ = (1 / 20) * XX**2 + YY**2
fig = plt.figure()
ax = Axes3D(fig)
ax.plot_surface(XX, YY, ZZ, rstride=1, cstride=1, cmap='hot');
plt.contour(XX, YY, ZZ, 100, colors='k')
plt.ylim(-10, 10)
plt.xlim(-10, 10)
y축 방향은 가파른데 x 축 방향은 완만하고 기울기의 대부분은 (0,0) 방향을 가리키지 않는 특징이 있다.
def _numerical_gradient_no_batch(f, x):
h = 1e-4 # 0.0001
grad = np.zeros_like(x) # x와 형상이 같은 배열을 생성
for idx in range(x.size):
tmp_val = x[idx]
# f(x+h) 계산
x[idx] = float(tmp_val) + h
fxh1 = f(x)
# f(x-h) 계산
x[idx] = tmp_val - h
fxh2 = f(x)
grad[idx] = (fxh1 - fxh2) / (2*h)
x[idx] = tmp_val # 값 복원
return grad
# f(x, y) = (1/20) * x**2 + y**2 의 기울기
from mpl_toolkits.mplot3d import Axes3D
def numerical_gradient(f, X):
if X.ndim == 1:
return _numerical_gradient_no_batch(f, X)
else:
grad = np.zeros_like(X)
for idx, x in enumerate(X):
grad[idx] = _numerical_gradient_no_batch(f, x)
return grad
def function_2(x):
if x.ndim == 1:
return np.sum(x**2)
else:
return np.sum(x**2, axis=1)
x0 = np.arange(-10, 10, 1)
x1 = np.arange(-10, 10, 1)
X, Y = np.meshgrid(x0, x1)
X = X.flatten()
Y = Y.flatten()
grad = numerical_gradient(function_2, np.array([(1/(20**0.5))*X, Y]) )
plt.figure()
plt.quiver(X, Y, -grad[0], -grad[1], angles="xy",color="#666666")#,headwidth=10,scale=40,color="#444444")
plt.xlim([-10, 10])
plt.ylim([-5, 5])
plt.xlabel('x0')
plt.ylabel('x1')
plt.grid()
plt.legend()
plt.draw()
plt.show()
학습되는 과정을 보면 아래와 같이 비효율적으로 진행된다.
모멘텀
SGD의 위와 같은 단점을 보완한 3가지 기법을 살펴볼텐데 그중 첫번째인 모멘텀 기법이다.
기울기 방향으로 힘을 받아 물체가 가속되는 물리법칙이 적용된 방식으로 공이 그릇 바닥을 구르는 듯한 움직임을 보여준다.
class Momentum:
def __init__(self, lr=0.01, momentum=0.9):
self.lr = lr
self.momentum = momentum
self.v = None
def update(self, params, grads):
if self.v is None:
self.v = {}
for key, val in params.items():
self.v[key] = np.zeros_like(val)
for key in params.keys():
self.v[key] = self.momentum*self.v[key] - self.lr*grads[key]
params[key] += self.v[key]
v는 초기화 때는 아무것도 담지 않고, update가 처음 호출될 때 같은 구조의 데이터를 딕셔너리 변수로 저장한다.
같은 케이스에 대해서 조금더 효율적인 것을 볼 수 있다.
AdaGrad
신경망 학습에서 학습률은 매우 중요한 하이퍼파라미터중 하나로 Learning rate decay 방법을 이용하여 학습이 진행될수록 점차 줄여가는 방법을 이용하는데 이를 발전시킨 것이 AdaGrad이다. AdaGrad는 각각의 매개변수에 적합한 맞춤형 값을 만들어준다.
h라는 새로운 변수가 나타나는데 이는 기존 기울기 값을 제곱하여 더해준다. 그리고 매개변수를 갱신할때 1/(√h)를 곱하여 학습률을 조정하기 때문에 매개변수의 원소 중에서 많이 움직인 학습률은 학습률을 낮추는 것이다.
이때 학습을 진행할수록 갱신 강도가 약해져서 무한히 학습되면 어느 순간 갱신량이 0이 되어 전혀 갱신되지 않는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RMSProp이라는 기법이 있다. 이는 지수이동평균(EMA)를 이용하여 과거의 기울기는 기하급수적으로 반영 규모를 감소시키고 새로운 기울기 정보를 크게 반영하여 효과적인 방식을 구축해냈다.
AdaGrad는 아래와 같이 구현할 수 있다.
class AdaGrad:
def __init__(self, lr=0.01):
self.lr = lr
self.h = None
def update(self, params, grads):
if self.h is None:
self.h = {}
for key, val in params.items():
self.h[key] = np.zeros_like(val)
for key in params.keys():
self.h[key] += grads[key] * grads[key]
params[key] -= self.lr * grads[key] / (np.sqrt(self.h[key]) + 1e-7)
최소값을 향해 굉장히 효율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처음에는 크게 움직이지만 그 큰 움직임에 비례해 갱신정도도 큰 폭으로 작아지도록 조정된다.
Adam
Adam은 AdaGrad의 매개변수의 원소에 따른 적응형 갱신 정도 조절 기법과 모멘텀의 물리적으로 공이 구르는 듯한 움직임을 차용하는 ㄱ법을 융합하여 굉장히 효율적인 기법으로 2015년 탄생한 최적화 기법이다. 또한 하이퍼파라미터의 '편향 보정'이 진행되는 특징이 존재한다.
class Adam:
"""Adam (http://arxiv.org/abs/1412.6980v8)"""
def __init__(self, lr=0.001, beta1=0.9, beta2=0.999):
self.lr = lr
self.beta1 = beta1
self.beta2 = beta2
self.iter = 0
self.m = None
self.v = None
def update(self, params, grads):
if self.m is None:
self.m, self.v = {}, {}
for key, val in params.items():
self.m[key] = np.zeros_like(val)
self.v[key] = np.zeros_like(val)
self.iter += 1
lr_t = self.lr * np.sqrt(1.0 - self.beta2**self.iter) / (1.0 - self.beta1**self.iter)
for key in params.keys():
#self.m[key] = self.beta1*self.m[key] + (1-self.beta1)*grads[key]
#self.v[key] = self.beta2*self.v[key] + (1-self.beta2)*(grads[key]**2)
self.m[key] += (1 - self.beta1) * (grads[key] - self.m[key])
self.v[key] += (1 - self.beta2) * (grads[key]**2 - self.v[key])
params[key] -= lr_t * self.m[key] / (np.sqrt(self.v[key]) + 1e-7)
#unbias_m += (1 - self.beta1) * (grads[key] - self.m[key]) # correct bias
#unbisa_b += (1 - self.beta2) * (grads[key]*grads[key] - self.v[key]) # correct bias
#params[key] += self.lr * unbias_m / (np.sqrt(unbisa_b) + 1e-7)
Optimizer 비교
네가지 방식의 학습진도를 MNIST 데이터셋을 통해서 비교해보고자 한다.
import numpy as np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from collections import OrderedDict
def f(x, y):
return x**2 / 20.0 + y**2
def df(x, y):
return x / 10.0, 2.0*y
init_pos = (-7.0, 2.0)
params = {}
params['x'], params['y'] = init_pos[0], init_pos[1]
grads = {}
grads['x'], grads['y'] = 0, 0
optimizers = OrderedDict()
optimizers["SGD"] = SGD(lr=0.95)
optimizers["Momentum"] = Momentum(lr=0.1)
optimizers["AdaGrad"] = AdaGrad(lr=1.5)
optimizers["Adam"] = Adam(lr=0.3)
idx = 1
for key in optimizers:
optimizer = optimizers[key]
x_history = []
y_history = []
params['x'], params['y'] = init_pos[0], init_pos[1]
for i in range(30):
x_history.append(params['x'])
y_history.append(params['y'])
grads['x'], grads['y'] = df(params['x'], params['y'])
optimizer.update(params, grads)
x = np.arange(-10, 10, 0.01)
y = np.arange(-5, 5, 0.01)
X, Y = np.meshgrid(x, y)
Z = f(X, Y)
# 외곽선 단순화
mask = Z > 7
Z[mask] = 0
# 그래프 그리기
plt.subplot(2, 2, idx)
idx += 1
plt.plot(x_history, y_history, 'o-', color="red")
plt.contour(X, Y, Z)
plt.ylim(-10, 10)
plt.xlim(-10, 10)
plt.plot(0, 0, '+')
#colorbar()
#spring()
plt.title(key)
plt.xlabel("x")
plt.ylabel("y")
plt.show()
import os
import sys
sys.path.append(os.pardir) # 부모 디렉터리의 파일을 가져올 수 있도록 설정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from dataset.mnist import load_mnist
from common.util import smooth_curve
from common.multi_layer_net import MultiLayerNet
#from common.optimizer import *
# 0. MNIST 데이터 읽기==========
(x_train, t_train), (x_test, t_test) = load_mnist(normalize=True)
train_size = x_train.shape[0]
batch_size = 128
max_iterations = 2000
# 1. 실험용 설정==========
optimizers = {}
optimizers['SGD'] = SGD()
optimizers['Momentum'] = Momentum()
optimizers['AdaGrad'] = AdaGrad()
optimizers['Adam'] = Adam()
#optimizers['RMSprop'] = RMSprop()
networks = {}
train_loss = {}
for key in optimizers.keys():
networks[key] = MultiLayerNet(
input_size=784, hidden_size_list=[100, 100, 100, 100],
output_size=10)
train_loss[key] = []
# 2. 훈련 시작==========
for i in range(max_iterations):
batch_mask = np.random.choice(train_size, batch_size)
x_batch = x_train[batch_mask]
t_batch = t_train[batch_mask]
for key in optimizers.keys():
grads = networks[key].gradient(x_batch, t_batch)
optimizers[key].update(networks[key].params, grads)
loss = networks[key].loss(x_batch, t_batch)
train_loss[key].append(loss)
if i % 100 == 0:
print( "===========" + "iteration:" + str(i) + "===========")
for key in optimizers.keys():
loss = networks[key].loss(x_batch, t_batch)
print(key + ":" + str(loss))
# 3. 그래프 그리기==========
markers = {"SGD": "o", "Momentum": "x", "AdaGrad": "s", "Adam": "D"}
x = np.arange(max_iterations)
for key in optimizers.keys():
plt.plot(x, smooth_curve(train_loss[key]), marker=markers[key], markevery=100, label=key)
plt.xlabel("iterations")
plt.ylabel("loss")
plt.ylim(0, 1)
plt.legend()
plt.show()
실제로는 하이퍼파라미터를 조절함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 일반적으로는 SGD보다 다른 세 기법이 빠르게 학습하고, 대부분 최종 정확도도 더 높게 나온다. 실제로 평소에 모델을 만들때도 대부분 Adam을 기본값으로 놓고 시작할 때가 많고 최종적으로도 최선의 결과가 나올때가 많다.
'Drawing (AI) > DeepLear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Udemy - 딥러닝의 모든 것(AutoEncoders) - (1) (1) | 2024.01.10 |
---|---|
딥러닝 직접 구현하기 - (가중치 초기값) (0) | 2024.01.10 |
Udemy - 딥러닝의 모든 것(볼츠만 머신 구축하기) (0) | 2024.01.08 |
딥러닝 직접 구현하기 - (오차역전파법) (1) | 2024.01.07 |
Udemy - 딥러닝의 모든 것(볼츠만 머신) - (2) (0) | 2024.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