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Quality control (Univ. Study)/Algorithm Design

Algorithm design - DP / Levenshtein Distance

by 생각하는 이상훈 2024. 5. 2.
728x90

Dynamic Programming

Dynamic Programming은 동적 계획법이라는 뜻이지만 실제로 그렇게 동적이지는 않다. 오히려 기록해둔 과거 기록을 저장해두고 꺼내서 이용한다는 점에서 Tabular Method라는 이름이 어울린다.

Divide-And-Conquer는 top-down approach로 나누어진 부분들 사이에 서로 상관관계가 없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합하다. 반면Dynamic programming은 bottom-up approach로 큰 문제를 작은 문제로 나눈 다는 점은 Divide-And-Conquer와 동일하나 작은 문제를 먼저 해결하고, 그 결과를 저장한 다음, 후에 그 결과가 필요할 때마다 다시 계산하는 것이 아니고 그 저장된 결과를 이용한다는 점이 다르다. 해답을 구축하는데 배열을 사용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DP방식의 해결법은 최적화 문제와 같은 경우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최소치 또는 최대치를 구하는 최적화 문제에서 최적해는 여러 개가 있을 수 있지만 그 중의 어느 하나를 구하면 된다. 최적해는 기본적인 소문제의 최적해로부터 더 큰 크기의 소문제의 최적해를 구하는 과정을 거치기에 DP방식을 적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최적성의 원리(principle of optimality)는 주어진 문제의 부분의 해가 전체 문제의 해를 구성하는데 사용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동적 계획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면, 그 문제가 최적성의 원리를 만족해야 한다.

 

일반적인 DP문제의 풀이 방식은 아래와 같다.

① 문제의 특성을 분석하여 최적성의 원리가 적용되는지 확인
② 주어진 문제를 소문제로 분해하여 최적해를 제공하는 점화식 도출
③ 입력 크기가 작을 때 도출된 점화식의 해를 구함
④ 이 해를 이용하여 점차적으로 입력 크기가 클 때의 점화식의 최적해를 구함

 

최적의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 예시를 살펴보자. 아래는 최장경로 문제이다.

v 1에서 v 4로의 최장경로는 [v1, v3, v2, v4]가 된다.
그러나, 이 경로의 부분 경로인 v1에서 v3으로의 최장경로는 [v1, v3]이 아니고, [v1, v2, v3]이다.
따라서 최적의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Dynamic Programming 예제

우선 아주 단순한 예제들을 살펴보자.

 

1과 2의 합
정수 n(2<= n<=100)이 주어져있을때 이 n을 1과 2의 합만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의 수를 구하시오.


예를 들어 n=4인 경우는 아래와 같이 5가지 임.
4 = 1+1+1+1
= 2+1+1
= 1+2+1
= 1+1+2
= 2+2

 

n을 만드는 방법은 n-1에 1을 더하거나 n-2에 2를 더하는 것이다. 따라서 n-1을 만드는 방법과 n-2를 만드는 방법의 가지수의 합이 n을 만드는 방법의 가지수가 될 것이다.

따라서 f(n)=f(n-1)+f(n-2) (초기값 f(2)=2, f(3)=3)

 

 

숫자판 놀이

숫자들이 2차원 배열에 있다. 가장 윗 행에서 가장 아래 행까지 내려올때 걸쳐지는 길에 있는 숫자의 합이 가장 높은것을 찾아보자. 이 때 어느 한 cell에서 다음 cell로 내려올 경우에는 바로아래, 왼쪽대각선아래, 오른쪽대각선 아래로만 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아래로 전파하는 문제는 아래와 같은 방식을 이용한다.

i-1, j-1 i-1, j i-1, j+1
  i, j  

i, j 지점에서 위의 세 값중 가장 큰값을 수용하여 더하고 본인의 값을 갱신한다. 이를 수식화 하면 아래와 같다.

A[i, j] = max(A[i-1, j-1], A[i-1, j], A[i-1, j-1]) + A[i, j]

 

 

치즈

어떤 쥐가 p[n][m]로 구성된 미로에 있을 때 왼쪽 아래 즉, p[0][0]에서 시작하여 출구가 있는 p[n-1][m-1]에 도달하려고 한다.

단, 이 쥐는 항상 오른쪽 또는 위쪽으로만 움직일 수 있으며 치즈를 최대한 많이먹으면서 출구로 이동하여야 한다.

이 문제의 recursive property를 제시하고 치즈의 최대값을 구하시오.

 

위의 숫자판 놀이 문제와 굉장히 유사한 방법을 이용한다.

i, j-1 i, j
  i-1, j

A[i, j] = max(A[i-1, j], A[i-1, j]) + A[i, j]


스트링 편집 거리

이번에는 스트링 편집 거리 문제를 살펴보자. 흔히 Levenshtein Distance(LD)라고도 불린다. 두 스트링의 유사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거리이다.
원래 스트링을 S, 목표 스트링을 T라고 두고 S를 T로 변환하는데 필요한 삽입, 삭제, 대치 연산의 최소 비용을 계산하는 것이다.
S = “test”, T=“test”  =>  LD(S, T) = 0  이와 같이 source와 target이 같으면 거리가 0이 된다.
S = “test”, T=“tent”  =>  LD(S, T) = 1   그러나 이와 같이 하나의 텍스트가 바뀌면 변환의 비용이 1이라고 했을 때 1이 나오는 것이다.
편집 거리가 커질수록, 두 스트링의 유사도는 낮아지게 된다.

 

점화식은 아래와 같이 비용을 가정하고 구할 수 있다.
- 삽입 연산의 비용 : δI
- 삭제 연산의 비용 : δD
- 대치 연산의 비용 : δS


D[i,j] : S = s1s2…si와 T = t1t2…tj 사이의 편집 거리
D[i,j] = min(D[i,j-1] + δI, D[i-1,j] + δD, D[i-1,j-1] + 0/δS)
(여기서 0/δS는 si = tj이면 0이고, 그렇지 않으면 δS임을 의미한다.)

 

δI = δD = δS = 1인 경우의 점화식은 다음과 같다.

D[i,j] = min(D[i,j-1] + 1, D[i-1,j] + 1, D[i-1,j-1] + 0/1)

Source값인 GUMBO를 Target인 GAMBOL 로 변경하는 스트링 편집 거리를 구하는 과정을 살펴보자.

 

G에서 A를 insert하면 GA가 되기 때문에 1이 채워지는 모습이다.

다양한 케이스들을 따져보며 표를 채우면 원하는 LD를 모두 찾을 찾을 수 있다.

δI = δD = δS = 1인 경우 알고리즘의 pseudo code는 아래와 같이 구조가 짜여질 것이다.

EditDistance(s[], t[], m, n)
	// 문자 배열 s[1,m], t[1,n]
	D[0,0] ← 0;
	for (i ← 1; i ≤ n; i ← i + 1) do
		D[i,0] ← D[i-1,0] + 1;
	for (j ← 1; j ≤ m; j ← j + 1) do
		D[0,j] ← D[0,j-1] + 1;
	for (i ← 1; i ≤ n; i ← i + 1) do
		for (j ← 1; j ≤ m; j ← j + 1) do {
			if (s[i] = t[j]) then cost ← 0;
			else c ← 1;
			D[i,j] ← min(D[i,j-1] + 1, D[i-1,j] + 1, D[i-1,j-1] + cost);
		}
	return D[n,m];
end EditDistance()

728x90